교원상세정보
강희진
교수

042-866-3417

UST 전공

선박해양공학,그린모빌리티(계약학과)

연구분야

강희진 교수는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친환경해양개발연구본부 본부장으로서 해양 탄소 중립 연구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2011년 서울대학교에서 조선해양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후, 해양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전념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수송분과 전문위원이자, UN 제3차 세계 해양 평가(WOA III)에서 탄소 중립 및 해양 재난 관리 분야의 등록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소속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스쿨

부서

친환경해양개발연구본부

학력
  • 2000-02 / 인하대학교 / 학사
  • 2004-08 / 아주대학교 / 석사
  • 2011-02 / 서울대학교 / 박사
대표연구실적
  • Ocean Engineering Journal 등 해양분야 top SCIE 저널의 주저자 논문 등 60여 편의 저널 논문 게재 실적이 있습니다.
  • 5극, 3극 특허를 포함한 60 건 이상의 특허 등록 실적과 ISO 국제 표준화 실적, IMO 정보문서 발간 실적이 있습니다.
  •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user=blQN7XQAAAAJ&hl=ko
학생지도이력
    석사과정 재학생 박사과정 재학생 통합과정 재학생 석사과정 졸업생 박사과정 졸업생 통합과정 졸업생
    0 1 0 0 0 0
논문(최근 5년)
  • A Concept Study on Design Alternatives for Minimizing Accident Consequences in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ENGINEERING,2023-04-24]
  • Application of Buoyancy Support System to Secure Residual Buoyancy of Damaged Ships[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ENGINEERING,2023-03-20]
  • Marine Demonstration of Alternative Fuels on the Basis of Propulsion Load Sharing for Sustainable Ship Design[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ENGINEERING,2023-03-07]
  • A parametric study for a flettner rotor in standalone condition using CFD[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2022-11-19]
  • Ship Motion-Based Prediction of Damage Locations Using Bidirectional Long Short-Term Memory[한국해양공학회지,2022-10-28]
  • Compensation Technique for Delay Times of Various Feedback Filters in a Three-Phase Control System for Synchronous Machines[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2021-07-20]
  • Performance-based on-board damage control system for ships[OCEAN ENGINEERING,2021-02-06]
  • Study on a Fully Electrified Car Ferry Design Powered by Removable Battery Systems Considering Domestic Coastal Environment[한국해양공학회지,2021-02-01]
  • Coded Shortcut Key Basis Rapid Plotting for Onboard Emergency Responses[MARINE TECHNOLOGY SOCIETY JOURNAL,2021-02-01]
특허(최근 5년)
  • 부력보조장치를 구비한 선박 사고대응시스템[2021-12-23]
  • 선박용 친환경 추진시스템의 육상실증 및 운용실적 확보를 위한 육상 테스트 베드 및 육상 테스트 방법[2021-04-02]
  • 선박용 친환경 추진시스템의 해상실증 및 운용실적 확보를 위한 해상 테스트 베드 및 해상 테스트 방법[2023-05-01]
  • 선박용 친환경 추진시스템의 해상실증 및 운용실적 확보를 위한 해상 테스트 베드 및 해상 테스트 방법[2021-03-10]
  • 선수미부와 중앙부 선저면 깊이차를 이용한 무평형수 선박 및 그 건조 방법[2021-06-01]
  • 선수미부와 중앙부 선저면 깊이차를 이용한 무평형수 선박 및 그 건조 방법[2022-03-29]
  • 자기부상 로터세일[2022-09-16]
  • 직립 연료탱크 기반 추진보조 로터세일 시스템 및 탑재 선박[2022-09-05]
  • 천연가스하이드레이트를 이용하여 최소평형수 선박 내 연료공급, 평형수 대체 및 청수공급이 가능한 시스템[2023-03-20]
  • 해수전지를 이용한 잠수함정용 전력공급 시스템 및 전력공급 방법[2021-12-31]
LAB 소개
    1. 연구실명 : Green Ocean Mobility Design Lab (GOMDL)
    2. 연구실 소개 : 친환경 오션 모빌리티 시스템 디자인에서는 액화수소, 암모니아의 해상 운송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안전성 평가, 안전성능 향상 기술을 배우게 됩니다.
    특히 선박용 배터리, 연료전지 등을 추진동력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기추진시스템 개발과 관련해 조선해양공학과 전기공학, 화학공학의 융복합을 통해
    세계적으로 수월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국가연구개발 프로젝트 참여와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경험을 갖게 됩니다.
    3. 주요 연구성과 :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2020, 융합분야), 해양신기술(NET) 인증 2회(2020, 2021), SCIE를 포함한 60편 이상의 저널 논문, 5극 특허를 포함한 60건 이상의 등록 특허, 10건의 IMO 정보문서, 3건의 ISO 표준화, 3건의 KS 표준화 실적 등
    4. 수행 중인 연구과제 : 2,540억원 규모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 개발사업" 실증분야(해수부) 주관 외
    5. 보유 장비 : 30MW급 전기추진시스템 육상시험평가설비(구축 중), 2.2MW급 친환경대체연료 해상실증테스트베드(K-GTB) (구축 중), 100kW급 재생에너지 선박적용 플랫폼(구축 중),
    6. 졸업 후 진로 : 국내외 조선소, 연구소, 기자재 업체, 방산업체 등
    7. 근무지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대전, 25년 이후 목포 연구거점 이전 예정)
    8. 문의처 : hjkang@kriso.re.kr
    9. 링크 URL : www.kriso.re.kr
신입생 연구활동계획
    석사과정
    1. 첫 학기에는 해양 탄소배출 규제에 대한 개괄적 내용과 시스템 설계 이론을 학습합니다.
    2. 두 번째 학기 이후에는 세부 전공 분야를 결정합니다. 그린모빌리티 시스템 설계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고 배터리, 연료전지나 수소, 암모니아 기술의 선박 적용 방안을 연구합니다.
    3. 재학 중 국가 연구개발 과제에 연구원으로 참여하며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와 논문 저술 활동을 진행하게 됩니다.
    박사과정
    1. 학부전공과 석사과정 전공을 고려해 그린모빌리티 연구분야를 설정하게 됩니다. 연구분야는 새로운 해양시스템 설계, 안전성 평가, 새로운 안전기술 개발 등이 포함됩니다.
    2. 두 번째 학기 이후에는 연구분야의 주제와 관련된 코스웍을 수강하고 국가 연구개발 프로젝트 진행의 전공 분야를 주도적으로 연구하게 됩니다.
    3. 재학 중 세계 수준의 국제학술대회 발표와 SCIE 논문 저술을 주도적으로 진행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