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ncept study for the buoyancy support system based on the fixed fire-fighting system for damaged ships
Feasibility study for on-board marine debris gathering and recycling
A framework for using computational fire simulations from the early phases of ship design
논문(최근 5년)
A feasibility review for an uneven baseline basis minimal ballast ship[한국해양공학회지,2020-02-12]
RFID and MEMS basis onboard crew location recognition system for incident response[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2020-04-15]
특허(최근 5년)
선박용 침수방지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2019-10-19]
자가발전 및 증발가스 처리가 가능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탱크 컨테이너 시스템[2019-04-02]
LAB 소개
1. 연구실명 : Green Ocean Mobility Design Lab (GOMDL) 2. 연구실 소개 : 그린모빌리티 시스템 디자인에서는 액화수소, 암모니아의 해상 운송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안전성 평가, 안전성능 향상 기술을 배우게 됩니다. 특히 선박용 배터리, 연료전지 등을 추진동력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기추진시스템 개발과 관련해 조선해양공학과 전기공학, 화학공학의 융복합을 통해 세계적으로 수월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국가연구개발 프로젝트 참여와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경험을 갖게 됩니다. 3. 주요 연구성과 :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2020, 융합분야), 해양신기술(NET) 인증 2회(2020, 2021), SCIE를 포함한 35편의 저널 논문, 5극 특허를 포함한 54건의 등록 특허, 6건의 IMO 정보문서, 2건의 ISO 표준, 2건의 KS 표준 등 4. 수행 중인 연구과제 : 2,540억원 규모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 개발사업" 실증분야(해수부) 주관 외 5. 보유 장비 : 30MW급 전기추진시스템 육상시험평가설비(구축 중), 2.2MW급 친환경대체연료 해상실증테스트베드(K-GTB) (구축 중), 100kW급 재생에너지 선박적용 플랫폼(구축 중), 6. 졸업 후 진로 : 국내외 조선소, 연구소, 기자재 업체, 방산업체 등 7. 근무지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대전, 25년 이후 목포 연구거점 이전 예정) 8. 문의처 : hjkang@kriso.re.kr 9. 링크 URL : www.kriso.re.kr
신입생 연구활동계획
석사과정 1. 첫 학기에는 해양 탄소배출 규제에 대한 개괄적 내용과 시스템 설계 이론을 학습합니다. 2. 두 번째 학기 이후에는 세부 전공 분야를 결정합니다. 그린모빌리티 시스템 설계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고 배터리, 연료전지나 수소, 암모니아 기술의 선박 적용 방안을 연구합니다. 3. 재학 중 국가 연구개발 과제에 연구원으로 참여하며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와 논문 저술 활동을 진행하게 됩니다. 박사과정 1. 학부전공과 석사과정 전공을 고려해 그린모빌리티 연구분야를 설정하게 됩니다. 연구분야는 새로운 해양시스템 설계, 안전성 평가, 새로운 안전기술 개발 등이 포함됩니다. 2. 두 번째 학기 이후에는 연구분야의 주제와 관련된 코스웍을 수강하고 국가 연구개발 프로젝트 진행의 전공 분야를 주도적으로 연구하게 됩니다. 3. 재학 중 세계 수준의 국제학술대회 발표와 SCIE 논문 저술을 주도적으로 진행하게 됩니다.